기존 계획
모니터가 없기에 SSH로 접속하려고 했음.
겨우 이것 때문에 Micro HDMI를 구매하기 싫었다.
1. 라즈베리파이를 구동시킨다.
2. OS 커스텀에서 설정한 HostName과 기본 사용자를 이용해서 Termius, Putty로 접속
문제
라즈베리파이의 Hostname으로 ssh 접속을 시도 했으나 실패함.
라즈베리파이 터미널로 접속조차 안되고 모니터도 없으니 뭐가 문제인지 모르는 상황.
여러가지 문제 상황을 생각해봄
1. 라즈베리파이 자체 고장
2. OS 커스텀에서 설정한 Hostname이 제대로 적용되지 X
3. OS 커스텀에서 설정한 WIFI(무선 LAN)이 제대로 적용되지 X
세가지 문제 중 하나일 것으로 생각했다.
가정 1.
라즈베리파이를 중고 거래로 얻었는데, 나에게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라즈베리파이를 팔았다.?
쿨거만 해오는 나라서 그럴 수 있다.
그러나 그분 인상이 워낙 선하고 헤어지기 전 "재밌게 사용하세요~" 라고 말해주셨기 때문에 라즈베리파이 자체 고장을 아닐거라 생각
가정 2, 3
Hostname이 설정이 잘 되었는 지 확인 할 수 있는 방법?
WIFI가 설정 확인?
그래 이걸 확인하기 위해선 우리집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로 접속해야하겠군!
SKT 브로드밴드 공유기를 사용 중 이므로 192.168.35.1로 접속했다. (보통은 192.168.45.1인데 우리집은 35더라)
사실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 접속하는데도 오래 걸렸다.
공유기 MAC주소 마지막6자리와 _admin을 조합한게 보통 초기 비밀번호인데 우리집 공유기 모뎀에는 그게 안적혀있었다...
106 SKT 고객센터에 전화해서 초기 비밀번호를 알아냈다.
문제 발견 및 해결
공유기에 접속한 기기들을 보니, 라즈베리파이의 Hostname이 없었다.
따라서 문제는 라즈베리파이에 WIFI 연결이 제대로 되지 않고있다는 뜻이다.
여러 참고 문서 중 라즈베리파이 설치 유튜브 영상 댓글에 5G대신 WIFI 2.4G로 연결하니 성공했다는 후기를 보았다.
그래서 OS를 재설치하는 과정에서 WIFI를 2.4G로 설정했다.
그러니 Hostname으로 SSH연결하니 성공!
사실 공유기 비밀번호도 몰라서 알아내는데 오래 걸렸당...
고정 IP 설정
현재 라즈베리파이 IP는 공유기의 DHCP 서버에서 할당해준 IP이다.
이 IP는 유동적이므로 라즈베리파이가 껐다 켜지면 IP가 변할 수 있다.
따라서 홈서버로 라즈베리파이를 사용하기 위해 고정 IP를 할당해주어야한다.
보통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에서 설정할 수 있다. (혹은 우분투 - netplan)
우리집 공유기는 SKT 브로드밴드를 사용한다.
그 중 Mercury 사이트를 관리자 홈페이지로 사용한다.
위 홈페이지에서 DHCP 서버 설정 페이지에 들어간다.
위 고정IP1, 고정IP2 창에 고정 설정하려는 MAC과 IP 주소를 입력 후 적용하면 된다.
해당 정보는 ifconfig를 통해 알 수 있다.
ether 뒷 부분이 MAC이다. (대문자로 입력해야한다.)
IP주소는 inet 뒷부분 or 머큐리 공유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이 입력 후 적용을 누르고 50초 정도 기다리면 된다!
'라즈베리파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즈베리파이 홈서버 5 - SSH 기본 포트 변경하기 (0) | 2024.12.22 |
---|---|
라즈베리파이 홈서버 4 - Hostname 변경 (0) | 2024.12.22 |
라즈베리파이 홈서버 3 - 사용자 추가 및 root 비활성화 + 도커 그룹추가 (1) | 2024.12.22 |
라즈베리파이 홈서버 1 - OS 설치 (1) | 2024.12.22 |
라즈베리파이 홈서버 (1) | 2024.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