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1. Termius로 SSH 접속
2. docker exec -it [컨테이너 명] bash
3. mysql -u [사용자명] -p
4. 비밀번호 입력
지금까지는 위와 같이 MySQL 컨테이너에 접속해서 MySQL Shell로 직접 다루려고 했다.
너무 불편하다...
라즈베리파이 내부 MySQL 도커 컨테이너에 손쉽게 접속하기위해서
DataGrip에서 SSH 터널링으로 MySQL 도커 컨테이너에 접속하고자 한다.
2. 방법
SSH/SSL 클릭
SSH 터널링을 위해서 Use SSH tunnel을 클릭하고
설정을 위해 ...을 클릭한다.
Host에는 Cloud서버 (나는 라즈베리파이 IP 주소)
Username은 사용자명
Password or Key Pair 방식 중 자신이 사용하는 걸 채택 후 Test Connnection!
그리고 General 메뉴를 선택한다.
여기서는 SSH로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했다고 가정하고 작성해야한다.
즉 Host에는 MySQL 도커 컨테이너가 도커 네트워크로 부터 부여받은 도커 내부 IP를 적어줘야한다.
컨테이너가 부여받은 도커 내부 IP는 다음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다.
docker inspect [도커 컨테이너 명]
Port는 포트포워딩한 도커 컨테이너의 포트를 적어준다.
User는 MySQL의 사용자명
Password는 MySQL의 사용자명
을 적어주고 Test Connection하면 된다.
3. 결과
DataGrip 프로젝트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잘 접속되는 걸 볼 수 있다.
'프로젝트에서 일어난 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스코드 뮤직 봇 개발 및 배포까지 (1) | 2025.04.26 |
---|---|
Spring Cloud Gateway에서 인증/인가 구현하기 (0) | 2025.04.25 |
라즈베리파이 + MSA(Spring Cloud) + CI/CD 배포 (1) | 2025.04.17 |
다수 데이터 Insert 시 성능 개선하기(37.06% 개선) (2) | 2025.04.16 |
같은 객체에 대해서 OneToMany를 두번 사용할 경우 (0) | 2025.04.14 |